학창시절에 태양계 행성의 순서를 외우려고 머릿글자만 따서 노래처럼 불렀던 기억이 있어요 당시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순으로 외웠는데 2006년 행성분류법에 따라 명왕성은 소행성으로 바뀌게 됩니다. 명왕성의 태양계 행성 지위가 박탈된 이후 태양계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총 8개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태양계 행성의 순서와 함께 각 행성의 크기와 이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양계행성의 순서=먼저 우리가 아는 순서는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과 가까운 순서입니다.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순으로 우리가 학창시절에 외웠던 것과 같은 순서입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8개의 행성은 특징과 분류 방법에 따라 나뉩니다. 먼저,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는 행성을 ‘내행성’이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지구에서 해왕성까지를 ‘외행성’이라고 합니다.
또, 지구와 비슷한 구성물질을 가지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을 「지구형 행성」이라고 합니다. 나머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지구에 비해 반경과 질량이 훨씬 큰 행성으로 ‘목성형 행성’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태양계 행성의 순서를 크기 기준으로 할 때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지구-금성-화성-수성 순으로 나열할 수 있습니다.
태양계 행성의 특징 먼저 태양계의 중심인 태양부터 살펴봅시다. 태양은 항성으로,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행성들과 달리 스스로 빛을 내는 특성 때문에 별 혹은 항성이라고 부릅니다.
태양은 지구의 33만 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어 그 때문에 다른 천체들이 끌어당겨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게 되지요. 가벼운 기체인 수소와 헬륨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양이 상상 이상으로 많고 무거운 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명은 100억년 정도로 생성 시기는 약 50억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태양계 행성 순서대로 각각의 특징들을 살펴보기로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고대 로마인들이 신의 심부름을 따서 머큐리라고 지었습니다. 태양이 나오는 빛 때문에 지구에서는 관찰이 쉽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금성은 두 번째에 위치한 행성으로 달 다음으로 밤하늘에서 밝게 보이는 편입니다. 크기 뿐만 아니라 화학 조성이 지구와 비슷해 자매 행성이라고도 합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미의 신을 따서 비너스라고 부르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는 샛별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르고 있습니다.
지구는 세 번째에 위치하고 있으며, 달을 위성으로 두고 있습니다. 자전 주기는 1일 공전 주기는 365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이 있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핵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자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흙의 공이라는 의미로 지구라고 부르고 서양에서는 흙과 대지를 Earth라고 부릅니다.
외행성에 속하는 화성은 붉은 빛을 띠고 있다고 해서 화성이라고 이름 붙여졌지만, 겉보기와는 달리 차가운 온도를 가지고 있어 서양에서는 전생에 신의 이름을 따서 송어라고 부릅니다. 한때 물이 흐른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생명체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었습니다.
목성은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1300배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로마인들은 신들의 왕의 이름을 따서 주피터라고 불렀습니다. 목성은 기체로 되어 있어 땅이 없고 자전이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토성은 두 번째로 크고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농경의 신이름을 따서 새턴이라고 부릅니다. 고리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천문학자들은 이를 토성이 생성된 후 남은 물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망원경이 발명된 후 발견되어 각각 하늘의 신과 바다 신의 이름을 따서 우라노스와 넵튠이라고 불립니다.
오늘은 간단히 행성의 순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지만 우주는 넓고 다양한 행성들이 있기 때문에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겁니다.^^